CATEGORY

분류 전체보기 (774)
즐거운 영어 레시피 (61)
재밌는 놀이 레시피 (108)
책벌레 독서 레시피 (94)
신나는 수학 레시피 (25)
궁금한 과학 레시피 (128)
학교가 신난다! 교과연계 레시피 (26)
스스로 자기주도 레시피 (111)
섬기는 성품 레시피 (17)
컴퓨터 코딩 레시피 (15)
우리나라 신화 이야기 (7)
엄마도 한다! 엄마표 중국어 (17)
햄스터 키우기 (37)
함께하는 엄마 공부 (38)
보관 (0)
작은 단상 (81)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LINK



  1. 2022.11.01
    2022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2 (집에서 무료로 코딩 배우기~) 9
  2. 2022.10.25
    집에 있는 현미경들을 비교해봤어요~ (여러 현미경 비교하기) 10
  3. 2022.07.26
    여름 방학 온라인 과학 프로그램~ (Feat. 사이언스올) 6
  4. 2022.07.13
    제임스 웹 망원경 첫 사진! (Feat. 아이들 활동자료) 2
  5. 2022.06.25
    (오늘 저녁 7시 방송!) 행성들이 한 줄 서기 한대요~ 2
  6. 2022.03.08
    [NASA] 달로 이름 보내고 보딩패스 받으세요~~ 3
  7. 2022.02.21
    노벨 과학상 해설 동영상 시리즈~ 5
  8. 2022.01.28
    제임스웹, 얼마나 멀까? (Feat 4cm 지구!) 8
  9. 2022.01.04
    국립중앙과학관 - 달력 속 과학 이야기 11
  10. 2021.12.31
    꼬리에 꼬리를 무는 실험 - 블랙아웃 보드 12
반응형

온라인 코딩파티는 지금까지도 매번 있었던 행사인데요. 무료로 집에서 코딩 배워보기 좋은 것 같아요. 아이들 어릴 때에는 블록 코딩 맛보기로 이런 저런 무료 온라인 프로그램들 활용했었는데요. 아이들이 어느 정도 크면서 이제는 코딩 쪽으로 진로를 잡고 싶어하지는 않아서 적당히 교양 수준으로 가지고 놀아보는 정도로만 하고 있습니다 ^^ 코딩을 처음 접하는 아이들을 위해 재밌게 해 볼 블록코딩과 관련된 자료는 정말 차고 넘치게 많은데요. 의외로 텍스트 코딩은 해보려고 하니 아주 맘 잡고 해봐야 하는 자료가 많아서 엄두가 안나더라구요; 또 텍스트 코딩 언어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무얼 배워야 하는지도 고민 되구요. 마침 이번에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2가 있어서 어떤 자료가 있나 살펴보다가 저희 아이들처럼 코딩을 본격적으로 배우진 않을 예정이지만 적당히 이게 뭔지 정도만 알고 싶은 아이들을 위한 초보자용 강의가 괜찮아서 소개해봅니다~ 

 

<2022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2>

ㅎㅎ 온라인 코딩파티 화면 이에요. 아래 링크로 들어가시면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2 바로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아~

SW중심사회 [코딩파티 소개] (software.kr)

 

SW중심사회

SW중심사회

www.software.kr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2는 10월 11일부터 시작됐는데 11월 21일까지 진행된다고 해요. 아직 기간이 좀 남았으니 여기 있는 프로그램으로 코딩 배워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위의 링크 들어가시면 블록 부문, 텍스트 부문, CT 부문, AI 부문으로 나뉘어서 여러 가지를 체험해 볼 수 있는데요. 종류가 많아서 이 중 뭐가 좋을지 일일이 들어가 보기는 힘들 것 같아요; 대충 이 프로그램들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안내문이 있으니 그걸 먼저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위의 링크로 들어가셔서 아래로 조금만 내려가면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와요

 

바로 저 노란 버튼, "행사 및 프로그램 안내 자료 다운로드" 누르시면 안내문 pdf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면 아래처럼 각각의 부문별로 해당 프로그램들 모아놓은 썸네일이 있어서, 그걸 누르면 바로 들어가서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진짜 많아요 ㅎㅎ 블록 코딩 부문이 확실히 종류도 많고 해 볼만한 것도 많은 것 같아요 ^^

 

안내문 pdf 내용 보시면 이렇게 전체 프로그램이 뭐가 있는지 정리가 되어 있어요. 이건 간략하게 제목과 권장 연령 보여주고 있는데요. 대충 보시고 이 중 어떤 걸 해보면 좋겠다 정해보셔도 좋아요. 그럼 아래 쪽에 각 프로그램마다 좀 더 자세한 내용 나와있습니다. 저희는 블록 코딩은 말고 텍스트 코딩 부문을 보기로 했어요. 

텍스트 코딩에서 배울 수 있는 언어로 파이썬, JAVA, C, C++ 등이 있는데요. 코딩을 전문적으로 하지 않을 예정인 초보자가 배우기에는 파이썬이 괜찮다고 해요. 본격적으로 코딩 쪽으로 진로를 계획한다면 C언어를 배우는 편이 낫다고 합니다. 저희는 대충 맛만 볼거라 파이썬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찾아봤어요. "토끼의 당근수집"은 권장연령도 5학년 이상이니 초등 4학년 둘째도 해볼만 하지 않을까 해서 한 번 시도해봤습니다. 썸네일 누르고 들어가면 제대로 체험하려면 회원가입을 해야 한다고 나오는데요. 게스트 모드로도 가볍게 체험해 볼 수 있어서 우선 게스트 모드로 해봤어요. 

 

으음.... 이런 체험 활동에서 보면 주로 초등학생들을 매우 어리게 보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요; 블록코딩으로 어느 정도 코딩에 대한 기본 알고 있으면서 엔트리에 있는 엔트리 파이썬 기능으로 텍스트 코딩도 아주 조금은 알고 있던 둘째가 첫번째 스테이지를 해보고 이건 너무 쉽다고 재미 없다고 하네요. (....열심히 준비해주신 엘리스 그룹 분들께는 죄송합니다 ㅠㅠ 블록코딩 많이 안 해본 초등학생들은 좋아했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 기본적으로 텍스트 코딩은 영타는 좀 되는 상태에서 시작하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블록코딩 맛보기 해보면서 저희 아이들은 코딩 쪽으로 진로를 잡지는 않을 거라서 그동안 컴퓨터 관련해서는 타자연습, 문서 작성, PPT 만들기, 동영상 만들기 정도만 해봤었거든요. 그래서 영타가 부담스럽지 않아서 정말 코딩 배우는데만 집중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

 

다른 프로그램으로 "처음 시작하는 코딩"에서도 파이썬 배울 수 있어서 한 번 해봤어요. 여기도 마찬가지로 본격적으로 체험하려면 회원가입을 해야하는데요. 회원 가입이 온라인 코딩파티에서 하는 전체 회원가입이 아니더라구요. 각각의 프로그램을 만든 회사가 다양해서, 각 회사마다 체험하려면 따로 회원가입을 해야하는 것 같습니다. 어쨌든 이것도 우선 비회원으로 맛보기 먼저 해봤는데요. 권장 연령이 중학생 이상이어서 위의 프로그램보다 약간 복잡하지만 블록코딩 좀 해본 초등 고학년 학생이라면 이 프로그램을 더 재밌어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저희는 우선 이걸로 파이썬 배우기 도전해보기로 했습니다 ^^

 

너무 자세하지 않고 적당히 내용 배워보는데 딱 좋은 프로그램을 만난 것 같아서 기뻤어요~ 11월 21일까지 기한이 정해져있으니 너무 늘어지지도 못 할 것 같습니다ㅋ 파이썬 배워보고 싶긴 했는데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싶지는 않았던 저희처럼(ㅋㅋ;) 적당히 텍스트 코딩 배워보실 분들께 권합니다~ 그럼 다음에 또 재미난 이야기 가지고 올게요 ^^ 

반응형
And

작은흐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반응형

으음... 어쩌다보니(?;) 집에 다양한 종류의 현미경을 비치하게 되었어요 ^^; 시작은 아는 분께서 필요없어진 광학 현미경을 주시는 바람에 받게 된 거였어요. 정말 감사하게도 덕분에 집에서 현미경 관찰을 할 수 있게 되었죠! 그런데 광학현미경은 무겁고 프레파라트를 제작해서 봐야 하니 자주 보기는 힘들더라구요. 어느 날 장보다가 장난감처럼 생긴 휴대용 현미경을 보고 이건 간편하게 들고다니며 관찰하기 좋겠다 싶어서 저희 집에 두 번째 현미경이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ㅎㅎ 이것 저것 관찰하고 그 내용 블로그에 올리다 보니 관찰한 내용을 사진으로 찍는 과정이 꽤나 힘들었어요. 그러다 USB 현미경이라는 걸 알게 되어서 사진을 더 예쁘게 찍어보려고 이것도 구입했습니다! 다양하게 관찰할 수 있는 건 좋았는데요. 직접 프레파라트를 예쁘게 제작하기는 힘들다보니 다양한 영구 프레파라트 샘플을 사고 싶었는데 한 두 번 관찰하고 말 것으로 생각하니 살까 말까 주저하게 되더라구요; 그러다가 이번 2022년 온라인 사이언스데이에 현미경 관찰 체험 키트를 신청하면 샘플 영구 프레파라트를 주신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어... 그런데 선착순 신청에서 떨어졌어요 ^^; 다행히 종이 현미경 체험도 있었는데 거기서도 샘플 프레파라트를 주신다길래 냉큼 신청했고, 드디어 받았습니다아~~ 


... 이렇게 해서 저희 집에 정말 다양한 현미경이 생기게 되었는데요. 기왕 이렇게 된 거 아이가 다른 체험활동 하면서 받은 루뻬 확대경과 그냥 돋보기까지 넣어서 확대해서 관찰할 수 있는 도구들을 모두 비교해 보기로 했습니다아~ ㅋㅋㅋ 현미경을 사고 싶은데 무얼 살 지 모르겠다 하신다면 이번 비교 분석 글을 보시고 용도에 맞는 걸로 사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우선 저희 집에 있는 확대용 도구들 모두 공개합니다아~~ 

 

 

1. 광학 현미경

2. 휴대용 현미경

3. USB 현미경

4. 루뻬 확대경

5. 폴드스코프 

6. 돋보기

 

어허허... 생각보다 많네요? ^^; 그럼 이번에 온라인 사이언스데이에서 받은 종이현미경, 폴드스코프 소개하면서 각각의 현미경 관찰 결과 소개해볼게요~ 

종이현미경을 만들어 여러가지 키트 관찰하기 > 학교 과학동아리 4회차 | 2022 가을 온앤오프 사이언스데이 (xn--2n1bz4whpbb4eovcda.kr)

 

2022 가을 온앤오프 사이언스데이

2022 가을 온앤오프 사이언스데이 공식홈페이지입니다.

www.xn--2n1bz4whpbb4eovcda.kr

이번에 저희가 체험했던 건 위의 링크에 있는 폴드스코프에요. 이런 체험을 해볼 수 있도록 열심히 준비해준 학생분들 너무 고맙습니다~ 덕분에 아이들과 적정기술인 폴드스코프 체험해 볼 수 있었어요 ^^ 

 

집으로 배달온 체험 키트를 개봉하니 이렇게 폴드스코프를 만드는 재료와 샘플 프레파라트가 들어있어요. 저희 프레파라트는 Nerve trunk가 왔네요 ^^

위쪽 종이는 설명서, 아래쪽 종이는 폴드스코프 재료에요. 종이 한 장과 렌즈를 가지고 실제 사용 가능한 현미경을 만들 수 있다니 진짜 신기한 것 같아요! 

 

설명서에 적힌 대로 이리 저리 접어서 만들면 이렇게 폴드스코프 완성입니다! 나름 촛점 거리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도 있어요! 그리고 직접 프레파라트를 만들어 볼 수도 있게 되어 있어서 주변에서 다양한 것들 관찰해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저희는 우선 함께 온 Nerve trunk 샘플 프레파라트를 관찰해봤어요. 눈으로도 관찰 가능하지만 핸드폰 카메라와 연결해서 사진도 찍을 수 있게 되어 있군요! 깨끗하게 찍으려면 핸드폰을 폴드스코프에 붙여야 하지만 붙였다 떼면 자국 남을까봐 스티커로 붙이지는 않고 그냥 한 번 찍어봤습니다 ㅎㅎ

 

 

어..... 저희가 촛점을 잘 못 맞춰서 이게 최선이었어요 ㅠㅠ 사진 찍는 과정에서 좀 더 흔들려 보이긴 했지만 아주 자세한 관찰은 힘들 것 같아요. 그래도 말라리아 진단에 필요한 정도로는 볼 수 있다고 하니 현미경이 꼭 필요하지만 비용이 부담스러운 지역을 위한 적정기술로는 훌륭한 제품인 것 같습니다 ^^

 

같은 슬라이드를 휴대용 현미경으로 관찰했습니다 

오오.. 무언가 동글동글 단면이 보이고 가장자리를 껍질이 둘러싼 모습이에요. 사진으로 찍어서 작게 보이는데 눈으로 관찰하면 좀 더 자세하게 보입니다 ^^

 

이번에는 광학현미경입니다 

이건 확실히 광학 현미경이 잘 보여요! 사진으로 찍는 과정에서 좀 뿌옇게 나왔는데요. 눈으로 보면 정말 세밀한 부분까지 보입니다. 광학 현미경은 배율도 저배율, 중배율, 고배율 다 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ㅎㅎ

 

이번에는 USB 현미경으로 관찰해봤어요. 

확실히 사진은 USB 현미경이 잘 나오지요? ㅎㅎㅎ 그런데 이쪽 끝부분은 50배, 저쪽 끝부분은 500배라고 표시되어 있는데요. 그 근처에서 각각 상이 맺히는 걸 사진으로 찍었는데 500배라고 된 건 50배라고 표시된 상의 두 배 정도 크기에요. 아무래도 배율이 몇 배인지는 좀 부정확하게 나오는 것 같습니다. 저희가 조작이 미숙해서 그럴 수도 있구요 ^^; 

 

이번에는 루뻬 확대경으로도 관찰해봤습니다~

어... 사진 찍기는 루뻬가 가장 힘들어요;;;; 상이 잘 잡히지가 않는데 가까스로 찍었습니다. 생각보다 굉장히 작게 보이지요? ㅋㅋㅋ 그래도 눈으로 직접 관찰하면 이거보다는 크게 보이는 기분입니다. 사진으로 찍고 보니 이럴 거면 그냥 핸드폰 카메라 자체 기능으로 확대하는 게 낫겠다 싶어서 한 번 찍어봤어요 ㅋ

음... 사진으로만 보면 이게 더 나은 것 같아 보이지요? ㅎㅎ 그치만 블로그에 올리느라 사진을 좀 편집해서 그렇게 보이는 것 같아요. 실제로 보면 루뻬 사진은 핸드폰 카메라 3배 확대한 사진과 비슷해 보입니다. 아예 확대 하지 않고 그냥 촬영한 다음 사진을 확대해보니 그것 보다는 루뻬로 확대해서 찍거나 아예 3배 확대 모드로 촬영한 게 더 자세하게 보이는 것 같아요. 그래도 다른 현미경으로 보는 사진과는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돋보기는 아예 그냥 쬐끔 커보이는 정도가 다여서 비교할 필요 없어 보였습니다 ^^; 

 

 

폴드스코프가 생각보다 잘 안 보여서요. 어쩌면 샘플 프레파라트는 광학 현미경 용이라서 그럴 수도 있으니 폴드스코프 용으로 같이 보내주신 종이 슬라이드로 관찰할 대상을 보면 다르지 않을까 싶었어요. 급한대로 집에서 가장 빠르고 편하게 준비할 수 있는 샘플, 양파 껍질을 바로 준비해봤습니다 ㅋㅋㅋ 

 

오오오... 아주 자세하게 보이지는 않지만 그래도 양파세포가 방들이 여럿 있는 모양으로 보이지요? 사진으로 찍으니 좀 흐릿해졌는데 그래도 방 모양이 대충 보여서 이것으로 말라리아 진단이 가능한 거구나 싶었습니다! 

 

같은 슬라이드를 휴대용 현미경으로 관찰했습니다. 사진으로 찍으니 잘 안 나오는데 나름 볼 만한 양파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ㅎㅎ 

 

 

 

광학 현미경이 역시 가장 대박이었어요! 

아주 깔끔한 사진이지요? 배율도 확실하고 양파세포 방들이 그 어느 현미경보다 정확하게 보입니다! 

 

예쁜 사진을 찍기 위해 USB 현미경으로도 같은 슬라이드를 봤습니다 ㅎㅎ 

어...라? 사실 이거 찍으면서 광학 현미경과 USB 현미경은 비슷한 모양으로 보일 거라고 예상했거든요. 그런데 방이 꼭 자른 것처럼 확실하게 보이는 광학 현미경에 비해 USB 현미경은 뭔가 더 투명하게 보이네요? 배율 문제는 역시 이번에도 마찬가지여서 500배라고 된 상이 실제로는 500배라기보다 100-200배 사이 정도 배율로 생각됩니다. 배율은 아무래도 초점을 맞추는 과정에서 정확한 500배 위치가 아닌 위치에 상이 잡히면 배율도 달라지는 것 같아요. 배율은 그렇다치고 광학현미경과 USB 현미경이 보이는 모양 자체가 좀 다른 게 의아했는데요. 마치... 광학현미경은 그 위치의 단면을 보는 것 같다면 USB 현미경은 겉표면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었어요. 현미경의 종류에 대해 검색해보니 광학 현미경 말고 실체 현미경이라고 빛이 반사되는 걸 그대로 잡아서 보여주는 방식이라 겉표면을 보여주는 현미경이 있더군요. 그 경우 광학현미경은 상이 거꾸로 맺히는데 실체현미경은 상이 똑바로 보인다고 해요. 그 내용을 보고 다시 위의 사진 중 Nerve trunk 사진을 보니 광학현미경과 USB 현미경 사진이 정말 거울상입니다! 아마 광학 현미경은 빛을 투과해서 상이 맺히는 위치의 단면을 보여주고, USB 현미경은 빛이 반사되는 걸 잡아서 사진을 찍는 것처럼 보여주기 때문에 겉표면이 찍히는 것 같아요! 이 부분은 제 추측이니 정말 그런지는 나중에 기회 되면 다시 확인해봐야겠습니다 ^^; 

 

 

간단히 요약해보자면 광학현미경은 비싸고 다루는게 편하지는 않지만 가장 깨끗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휴대용 현미경은 싸고 간편해서 뭐든 보기 좋은데 배율이 하나로 고정되어 있어요. 가볍게 집에서 관찰해보기에는 이 제품이 제일 만만해보입니다 ㅎㅎ 다만 이 두 가지는 촬영이 쉽지 않아서요. 관찰한 결과물을 사진으로 남기고 싶으시면 USB 현미경 사진이 가장 깨끗합니다.....만.....;;; 어... USB 현미경은 스마트폰에 연결해서 사용해야 하는데요. 연결해서 쓰는 어플이 최신 버전은 연결이 안된다고 해요. 그래서 구버전으로 바꿔서 설치해야 하는데... 이게 되다 말다 합니다 ㅠㅠ 한 어플 사용하다가 안되면 다른 USB 현미경 어플 검색해서 그거 구버전으로 바꿔보면 되기도 하는데요. 진짜 자꾸 되다 말다 해서 사용 자체가 좀 힘들어요. 용지걸림 현상이 디폴트인 복사기를 달래서 사용하는 기분이랄까요? 인내심이 많이 필요한 제품입니다 ㅠㅠ 이번에 받아본 폴드스코프는 종이현미경인데요. 음.. 싸고 간편한데 아주 깨끗하게 잘 보이진 않네요. 저희가 아직 스킬이 부족해서 그런 것 같기도 하고... 정말 이런 것도 있구나 하고 체험해보는 정도로 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ㅎㅎ 현미경 비용이 부담되지만 말라리아 검사를 위해 현미경이 꼭 필요한 지역을 위한 적정기술로서는 정말 획기적이라고 생각됩니다 ^^ 루뻬 확대경은 사진으로 관찰결과 남기기는 힘들지만 간편하게 들고다니며 보기는 괜찮아요. 돋보기는 으음... 정말 돋보기여서 그닥 많이 확대되지는 않습니다 ㅎㅎ

 

 

<여러 현미경들의 장단점 비교>

현미경 종류 관찰 대상 장점 단점
광학현미경 프레파라트 제작  저,중,고배율 관찰 가능
자세한 관찰 가능
비싼 가격
마음 먹고 꺼내봐야 함
휴대용 현미경 그대로 관찰 가능 저렴한 가격
들고다니며 보기 편함
배율이 한 가지
사진 촬영 힘듬
USB 현미경 그대로 관찰 가능 중간 정도 가격
고품질 사진 촬영
배율이 부정확함
어플이 불안정해 사용 불편
폴드스코프 프레파라트 제작 매우 저렴한 가격
현미경 만들어 볼 수 있음
적정기술에 관해 알려줌
자세한 관찰 힘듬

 

딱히 관찰한 것을 사진으로 찍지 않고 집에서 간편하게 아이들 관찰용으로 쓰기에는 휴대용 현미경이 가성비가 가장 좋아보입니다~ 예쁜 사진 찍고 싶으시다면 USB 현미경이 괜찮은데 사용할 때 인내심에 한계가 오는 경우가 간혹 있을 수 있습니다 ㅠㅠ 광학 현미경은 가장 과학 실험 다운 관찰을 할 수 있긴 하지만 집에 굳이 이것까지 있어야 하나 싶기도 해요 ㅎㅎ 한 번 체험해보는 정도라면 비추, 정말 현미경으로 다양한 활동을 꼭 해보고 싶다면 고려해 볼 만 하겠습니다. 폴드스코프는 현미경 관찰이 목적이라기보다 폴드스코프 자체를 체험하는 목적으로 한 번쯤 해 볼 만 합니다 ^^ 그럼 다음에 또 재미난 이야기 가지고 올게요~ 

반응형
And

작은흐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반응형

아이들 방학입니다~~ ㅎㅎㅎ 코로나로 한동안 온라인 프로그램이 많아져서 집에서도 해 볼 프로그램들이 많았었는데요. 이게 익숙해지다 보니 게을러져서 자꾸 온라인 프로그램만 찾아보게 되네요ㅋ 마침 사이언스올에 여름방학에 활용해볼만한 온라인 과학 프로그램이 올라와서 소개해봅니다 ^^ 

 

 

< 2022 사이언스올 - 과학학습놀이터>

2022 과학 학습 컨텐츠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scienceall.com)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바로 과학학습놀이터 보실 수 있어요~ 웹기반 과학학습 콘텐츠랑 실감형 과학실험 콘텐츠가 있어요~ 

 

웹기반 과학학습 콘텐츠는 화학, 물리, 생물, 지구과학, 기타 분야마다 한 세트씩 있는데요. 도입 - 전개 - 정리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해요. 저희도 아직 못 봤고 방학 중 심심할 때 볼 예정입니다 ㅋ 어떤 내용이 있나 보니 제법 재밌어 보이는 내용들이 있어요. 초등 4학년 둘째가 좋아할 것 같은 내용입니다 ^^ 

 

1. 타지 않는 종이의 원리

2. 밀도 차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방법

3. 여러 가지 기체

4. 종이 원심분리기

5. 순물질과 혼합물 구별

6. 화학 반응식 표현 

 

 

 

실감형 과학실험 콘텐츠는 어플 다운받아서 보는 AR 혹은 VR 콘텐츠라고 되어 있어요. 위의 그림은 운동에 대한 내용인데요. 이거 말고도 유전, 온대저기압, 이온결합, 2050년 지구를 구하라 게임 같은 것들이 있네요~ 중학교 1학년인 첫째가 볼만한 내용일 것 같아서 찜해놨습니다 ^^

 

 

<과학문화 나들이>

과학문화 나들이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scienceall.com)

그래도 방학인데 방콕으로 온라인 체험만 하긴 아쉽죠~ 방학에 직접 가서 체험해볼만한 전시나 교육에 대한 내용도 있네요 ㅎㅎ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과학문화 나들이 자세한 내용 보실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어떤 내용이 있는지 소개해볼게요 ^^

 

과학융합콘텐츠 협력전시라고 되어 있는데 비발디 파크나 거제 한화리조트에 놀러가실 계획 있다면 아이들과 잠깐 들러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그 밖에도 다양한 과학 관련 체험 및 전시 프로그램이 많네요~ 아이가 평소 관심있던 분야가 있거나, 여행지 근처에 재밌어 보이는 전시가 있다면 한 번 들러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여행지에 맞춰서 해볼만한 체험이나 전시를 소개해주기도 해요~ 여름 방학에 놀러갈 계획 있으시면 거기서 해볼만한 전시나 교육 프로그램 있는지 한 번 검색해보고 활용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그럼 다음에 또 재미난 이야기 가지고 올게요 ^^ 

반응형
And

작은흐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반응형

제임스 웹 망원경이 드디어 첫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지구에서 발사된 다음 본 궤도에 오르기까지 한 달 걸리더니 이것 저것 세팅해서 첫 번 째 사진 찍기 까지는 거의 6개월이 걸린 것 같아요. 오랜 시간 걸려서 드디어 찍은 제임스 웹의 첫 번째 사진입니다~~ 

 

First Images from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 NASA

위의 링크에서 퍼온 사진이에요. 세상에... 너무 예쁘네요! Carina Nebula 안에 있는 NGC3324라는 곳의 사진이라고 합니다. 새로운 별이 탄생하는 곳이라고 하네요. 예전에는 볼 수 없었던 걸 제임스웹이 이번에 찍은 거라고 합니다 ^^ 

 

맛있는 공부 레시피 :: 제임스웹, 얼마나 멀까? (Feat 4cm 지구!) (tistory.com)

 

제임스웹, 얼마나 멀까? (Feat 4cm 지구!)

초등 4학년 올라가는 둘째가 엊그제 제임스웹 망원경이 무사히 L2 궤도에 올랐다고 알려주더라구요. 허블 망원경을 잇는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이 크리스마스 때 발사된 건 알고 있었는데

yummystudy.tistory.com

예전에 제임스 웹 망원경 얼마나 멀리 있을까 직접 체험해봤던 내용이에요. 진짜 지구에서 어마어마 멀리 있던데 거기서 관측한 걸 지구에서 볼 수 있다니 참 신기해요 ㅎㅎㅎ 한 번 씩 아이들과 우주와 관련된 활동 해보면 우리가 정말 창백한 푸른 점 위에 살고 있구나 싶을 때가 있어요 ^^ 이번 제임스 웹 망원경 관련해서 NASA 소식지에서 찾아본 해볼 만한 활동 함께 올려봅니다~  

 

Webb's Launch GSFC/NASA

 

Webb's Launch GSFC/NASA

NASA's Webb Space Telescope :From arrival at the ESA launch Facility in Kourou French Guiana, through launch, deployment, commissioning and the first science images, the pages linked here are your starting point for exploring everything Webb. The James Web

webb.nasa.gov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제임스 웹 망원경에 대한 자세한 내용 살펴보실 수 있어요~ 아래 캡쳐 사진에서 보시는 것처럼 여러 이미지와 자세한 자료, 제임스 웹 위치 관련 정보 보실 수 있겠습니다~

 

 

How To See Webb’s First Images! –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gov)

 

How To See Webb’s First Images! – James Webb Space Telescope

The public release of Webb’s first images and spectra is July 12 – now less than two weeks away! The Webb team has confirmed that that 15 out of 17 instrument modes are ready for science, with just two more still to go. As we near the end of commission

blogs.nasa.gov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제임스웹의 첫 번째 이미지 보는 법 관련 링크들 모여있습니다~ 우주 이미지 직접 찾아보고 싶으시면 여기 방문해 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맨 위의 사진도 여기에서 링크 찾아 퍼왔습니다 ^^ 

 

 

James Webb Space Telescope STEM Toolkit | NASA

 

James Webb Space Telescope STEM Toolkit

NASA.gov brings you the latest images, videos and news from America's space agency. Get the latest updates on NASA missions, watch NASA TV live, and learn about our quest to reveal the unknown and benefit all humankind.

www.nasa.gov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아이들이 해볼 수 있는 활동 자료들이 많이 있어요~

 

들어가시면 이렇게 아이들 나이에 따라 권장되는 활동들 모음이 있으니 들어가서 보시고 재밌어 보이는 활동 해보셔도 좋겠습니다 ^^ 

 

 

What Is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 NASA Space Place – NASA Science for Kids

 

What Is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 NASA Space Place – NASA Science for Kids

 

spaceplace.nasa.gov

좀 어린 아이들을 위해서 제임스웹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해주는 링크에요. 저학년이라면 이 자료 한 번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 - YouTube

 

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is the successor to Hubble. It is an infrared telescope with a 6.5m mirror and a sunshade the size of a regulation tennis court! It will launch in 2021.

www.youtube.com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제임스웹 유튜브 채널 보실 수 있습니다~ 

 

동영상 목록이 참 많아요;;; 제임스웹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여기 한 번 보셔도 재밌을 것 같습니다 ^^

 

 

<그 밖에 재밌어 보이는 NASA 자료들>

보다 보니 제임스웹과 꼭 관련된 건 아니지만 우주 좋아하는 아이들이라면 한 번 보여줘도 될 법한 자료들 있어서 한꺼번에 올립니다 ^^

 

NASA Moonikin Comic

 

NASA Moonikin Comic

Online comic of: The Adventures of Commander Moonikin Campos and Friends

www.nasa.gov

어.. NASA 제작 만화책입니다 ㅎㅎㅎ 우주 좋아하는 아이들이라면 재밌어 할 것 같아요~ 

 

Exoplanet Travel Bureau | Explore – Exoplanet Exploration: Planets Beyond our Solar System (nasa.gov)

 

Take a virtual trip with NASA

Book your trip to the imagined surfaces of planets outside our solar system, with NASA's interactive Exoplanet Travel Bureau

exoplanets.nasa.gov

외계행성으로 온라인 여행을 떠나보자는 발상은 누가 했을까요? ㅎㅎㅎ 나름 재미나게 한 번 살펴볼 만 한 것 같아요. 올 여름 휴가는 외계 행성으로 한 번 다녀오시죠! ㅋㅋㅋ 그럼 다음에 또 재미난 이야기 가지고 올게요~ 

 

 

 

반응형
And

작은흐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반응형

이번에 행성들이 한줄로 죽~ 늘어서는 우주쇼가 있다고 해요! 유튜브 과학관 TV에서 오늘 저녁 7시에 실시간 스트리밍을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ㅎㅎㅎ 줄을 서시오~ 행성들이 줄줄이 줄 서 있다니 신기할 것 같아요 ^^ 

과학관TV - YouTube

 

과학관TV

 

www.youtube.com

과학관 TV 유튜브 보실 수 있는 링크에요. 저희도 오늘 저녁 7시에 맞춰서 보려구요. 과학관 TV 실시간 스트리밍 은근히 재미나더라구요 ^^

6월 26일 4시 30분경 6개의 행성이 일렬로 늘어선 밤하는 모습.JPG 

이번에 한 줄 서기하는 행성들 예상 모습인가봐요. 아래 링크에서 사진은 다운 받았습니다~

2022년 행성정렬 특집 생방송 안내 < 공지사항<소통마당-국립중앙과학관 국문 사이트 (science.go.kr)

메일링 서비스를 받고 있는 "전국과학관 e소식지"에 나온 내용이에요. 여러 과학관에서 하고 있는 내용 정리해서 메일로 받아볼 수 있어서 유용합니다 ㅎㅎ 메일링 서비스 신청하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시면 되겠습니다~

(사)한국과학관협회 > 알림마당 > 전국과학관e소식지 (scicenter.or.kr)

 

(사)한국과학관협회 > 알림마당 > 전국과학관e소식지

 

www.scicenter.or.kr

 

 

 

 

<NASA STEM 활동 자료>

마침 비슷한 시기에 NASA에서 STEM 활동 자료도 와서 공유해봐요. 주말에 이 중 하나 해보면서 저녁에 과학관 TV로 행성 한 줄 서기 구경할 예정입니다~ ㅎㅎ

- 태양 오븐으로 스모어 만들기 - 

Make S’Mores With a Solar Oven! | NASA Climate Kids

 

Make S’Mores With a Solar Oven!

You won't need a campfire for these.

climatekids.nasa.gov

종이상자, 알루미늄 호일, 랩을 이용해서 태양 오븐을 만들어보는 활동이에요~ 크래커와 머쉬멜로우, 초콜릿으로 스모어 만들어보는 건데요. 저희는 이번 주에 이걸 해보기로 했습니다~ 기온이 30도 되는 해가 쨍쨍한 날에 해야 하는데 잘 될지 모르겠어요. 하지만 뭐.. 집에서 하는 실험은 실패해보는 것도 제 맛 아니겠습니까아~? ㅎㅎㅎ 망해봐야 왜 망했는지 생각도 해보고, 그거 수정도 해보고 또 망해보고 에라 모르겠다~ 하기도 해보는 거죠 ㅋ 

 

- 빨대 로켓 만들기 - 

Student Project: Make a Straw Rocket | NASA/JPL Edu

 

Student Project: Make a Straw Rocket | NASA/JPL Edu

Create a paper rocket that can be launched from a soda straw – then, modify the design to make the rocket fly farther!

www.jpl.nasa.gov

요건 예전에 한 번 해봤는데 꽤나 간단하고 재밌어요~ 여러 가지 모양 로켓을 만들어서 누가 누가 멀리 나가나 실험해봐도 괜찮습니다. 하기도 간단해서 망하기 쉽지 않은 활동이에요 ㅋㅋㅋ 

 

- 자외선 차단제로 핸드프린팅 - 

Make Handprint Art Using Ultraviolet Light! | NASA Space Place – NASA Science for Kids

 

Make Handprint Art Using Ultraviolet Light! | NASA Space Place – NASA Science for Kids

 

spaceplace.nasa.gov

저희는 예전에 감광지 주문해서 비슷한 실험 해봤는데요. 다 아는 내용인데도 은근히 직접 해보면 신나고 재미나요~ 바로 눈에 보이지는 않으니 느긋하게 기다리는 인내심도 길러주는 실험입니다 ㅋ 

 

- 구름 모빌 만들기 - 

Make a Cloud Mobile! | NASA Space Place – NASA Science for Kids

 

Make a Cloud Mobile! | NASA Space Place – NASA Science for Kids

 

spaceplace.nasa.gov

미술 활동이나 만들기 좋아하는 아이들이라면 이 활동도 재밌어 할 것 같아요~ 저희는 스모어 쪽이 좀 더 신날 것 같아서 이번에는 요건 패스합니다~ 스모어는 태양오븐 망하면 에어 프라이어가 대신해 줄 거라서 애들이 신났어요 ㅋㅋㅋ 

 

- 국제우주정거장 ISS 실시간 위치 확인 - 

Spot The Station | NASA

 

Spot The Station

See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As the third brightest object in the sky the space station is easy to see if you know when to look up.

spotthestation.nasa.gov

국제우주정거장 ISS에 관심 있다면 위의 링크 들어가셔서 지금 ISS가 어디 위를 날아가고 있는지 찾아보셔도 재밌을 것 같습니다~ ^^ 

 

- 시민 과학자 참여 하기 - 

Citizen Science | Science Mission Directorate (nasa.gov)

 

Citizen Science | Science Mission Directorate

Help scientists better understand winter weather!  You’ll need to be in California, Colorado, New York, New England, Nevada, or Oregon.

science.nasa.gov

이건 시민 과학자로 NASA에 데이터 수집을 도와주는 건데요. 재미삼아 한 번 참여해봐도 괜찮은 것 같아요. 저희는 가끔 내킬 때 GLOBE Cloud Observer로 참여했었어요. 음.. 요새 안 한지 꽤 되었네요 ㅋ 이거 말고도 참여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 많습니다 ^^ 그럼 다음에 또 재미난 이야기 가지고 올게요~ 

반응형
And

작은흐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반응형

오랜만에 NASA에서 이름 보내는 프로그램이 떠서 또 신청했습니다~ 이건 기간이 없어서 언제까지 신청 가능한건지 잘 모르겠어요; 어쨌든 이름 쓰여진 보딩패스 받으면 기분은 좋아져서 온가족이 신청했습니다~ 이번에는 달로 갑니다~~^^




신청하는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바로 이름 적어서 만들 수 있어요ㅎㅎ 저희는 그걸 프린트 해서 손 코팅지로 이렇게 진짜 티켓처럼 만들어서 보관하고 있어요~



그동안 신청해서 모은 NASA 보딩패스들입니다~ 화성도 가고 태양도 가고 이번에는 달도 가네요~ ㅎㅎ 아주 그냥 온 식구들 이름을 태양계에 다 보내고 있습니다. 이러다 저희 가족 NASA VIP 고객 되겠어요ㅋㅋㅋ



NASA Artemis | Send Your Name to Space

NASA: Artemis

Artemis is the name of NASA's program to return astronauts to the lunar surface. We are going forward to the Moon to stay.

www.nasa.gov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보딩패스 받고 이름을 달로 보내실 수 있습니다~ 음... 글씨로 된 링크 클릭하셔야 해요. 이상하게 그림링크는 Artemis 전반적인 내용 알려주는 사이트로 계속 연결되네요? 글씨로 된 링크 클릭하시면 보딩패스 받는 사이트로 바로 연결됩니다~^^





https://www.nasa.gov/specials/virtualguest/

NASA: Virtual Guest

Since 2020, NASA has invited the public to be virtual guests at launches and milestone events.

www.nasa.gov


이거 말고도 여러 활동 하면서 NASA 패스포트 받는 것도 있는데요. 요건 완전 아날로그입니다;; 패스포트 출력해서 여권 모양으로 접어서 그때 그때 활동내용 스탬프 출력해서 붙이는 형식이에요;; 저희 아이들은 이제는 어릴 때처럼 이런 거 좋아하지는 않아서 안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저학년 아이들이거나 우주에 관심 많은 친구들은 재밌어 할 것 같아요~

저희 아이들은 패스포트는 별로라길래 보딩패스도 이젠 그만 신청할까 했더니 그건 모아야겠다고 신청하라네요ㅋㅋㅋ 그냥 재미삼아 NASA 보딩패스는 쭉 모아보렵니다~


NASA STEM 교육 자료 - STEMonstration


STEMonstrations: Vestibular System | NASA

STEMonstrations: Vestibular System

NASA.gov brings you the latest images, videos and news from America's space agency. Get the latest updates on NASA missions, watch NASA TV live, and learn about our quest to reveal the unknown and benefit all humankind.

www.nasa.gov


저희 아이들 관심이 시들해져서 예전처럼 열정적으로 NASA 자료를 찾아보지는 않는데요. 그래도 가끔씩은 보고 싶다고 해서 가볍게 볼만한 내용 있으면 함께 보고 있습니다. ISS에서 간단한 과학 내용에 대해 알려주는 동영상 시리즈로 STEMonstration을 올리고 있는데 이거 아이들과 가볍게 보기 좋아요ㅎㅎ 이번에는 우리 몸의 평형 감각을 담당하는 기관에 대해 설명해주는 동영상이었는데요. 이것도 재밌고 이전 동영상 중 표면장력도 재밌습니다~ㅎㅎ자세한 내용이라기보다 흥미유발 정도로 괜찮습니다^^



TED Ed - Earth School


Earth School - Your one-stop-shop for celebrating our planet | TED-Ed

Earth School - Your one-stop-shop for celebrating our planet

Dive into videos, quizzes, and activities that will help students celebrate, connect with and understand how to save our Earth.

ed.ted.com


이건 아직 보지는 못한 동영상 시리즈인데 TED Ed에서 나온 Earth School 시리즈에요. TED Ed도 믿고 보는 곳이죠! 시간날 때 아이들과 한번 보려고 찜해놨는데 NASA 자료 소개하는 김에 한꺼번에 올려봅니다~ 그럼 다음에 또 재미난 이야기 가지고 올게요~^^

반응형
And

작은흐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반응형

교육 관련 정보들 알려주는 메일링 서비스를 여기 저기 신청해서 받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 오늘은 한국과학기술 한림원에서 보내주신 내용 중 재밌어 보이는 게 있어서 소개해봅니다~ 청소년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노벨상 과학분야 수상 업적에 대해 알려주는 동영상 시리즈라고 해요. 시간될 때 아이들과 한 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노벨상의 위대한 발견">

2010년 이후 업적 중에서 선별된 내용인 것 같아요. 노벨상 수상자와 직접 함께 연구한 제자였던 교수님들이 설명해주신다고 하니 더 흥미롭네요! 청소년 및 대중들 눈높이에 맞는 내용이라고 하니 너무 어렵지는 않을 것 같아서 맘 편히 들어봐야겠어요 ㅎㅎ

강의 목록은 위와 같은데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아이들 보는 과학 잡지에도 종종 등장했던 내용이니 재밌어 할 것 같아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열린공간 - News (kast.or.kr)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열린공간 - News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기한림원,한림원,석학단체,한국과학기술,과학기술

kast.or.kr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동영상 목록 보실 수 있겠습니다. 시간 될 때 가볍게 하나씩 아이들과 보면 좋을 것 같네요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촉각 도서 '우주의 신비로운 이야기'>

이건 촉각도서래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도서도 있지만 일반 초등학생 혹은 중학생이 볼 수 있는 해설집을 곁들인 촉각 도서도 있네요! 지금은 신청 기간인가봐요. 3월 20일까지 신청을 받고 그 중에서 선정해서 배포한다고 합니다. 안 될 수도 있지만 혹시나 될 수도 있으니 한 번 신청해봐야겠어요 ㅎㅎ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열린공간 - News (kast.or.kr)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열린공간 - News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기한림원,한림원,석학단체,한국과학기술,과학기술

kast.or.kr

위의 링크 들어가시면 촉각 도서 '우주의 신비로운 이야기'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2022년 청소년과학영재 사사 신청>

오오.. 몰랐는데 고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이런 프로그램도 운영하시나봐요. 저희 아이들은 아직 어려서 해당사항 없지만 혹시 필요한 분들 계실까봐 소개해봅니다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알림 - 공지사항 (kast.or.kr)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알림 - 공지사항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기한림원,한림원,석학단체,한국과학기술,과학기술

kast.or.kr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자세한 내용 보실 수 있겠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신청해봐도 좋을 것 같아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뉴스레터 구독 신청>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열린공간 - 뉴스레터 (kast.or.kr)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열린공간 - 뉴스레터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기한림원,한림원,석학단체,한국과학기술,과학기술

kast.or.kr

ㅎㅎ 관련 정보들 뉴스레터로 구독신청 하면 메일로 정기적으로 받아볼 수 있어서 좋아요~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뉴스레터 구독신청 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다음에 또 재미난 이야기 가지고 올게요 ^^ 

반응형
And

작은흐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반응형

초등 4학년 올라가는 둘째가 엊그제 제임스웹 망원경이 무사히 L2 궤도에 올랐다고 알려주더라구요. 허블 망원경을 잇는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이 크리스마스 때 발사된 건 알고 있었는데요. 드디어 목적지에 도착했다는 소식은 아이가 알려줘서 듣게 되었네요ㅎㅎ 어릴 땐 제가 열심히 소식 찾아서 알려줬는데 언제 이렇게 컸나 대견합니다^^

이건 궤도를 향해 떠나는 제임스웹 뒷모습 사진이에요ㅎㅎ 지구로부터 발사될 때 타고간 로켓과 분리된 직후 로켓에서 찍은 모습이라고 하네요!

Newest! Launch and launch preparations from Kourou, French Guiana | Flickr

Newest! Launch and launch preparations from Kourou, French Guiana

Launch and launch preparations

www.flickr.com

위의 링크 들어가시면 제임스웹 관련 이미지 보실 수 있습니다. 로켓에서 찍은 제임스웹 사진도 여기서 받은 거에요^^ 조립 단계부터 로켓 모자(?) 씌우고 발사하는 과정까지 이미지가 다 있으니 한번 둘러보셔도 재밌을 것 같아요~


Where Is Webb? NASA/Webb

Where Is Webb?  NASA/Webb

'WhereIsWebb' shows the status of Webb on its journey to L2 orbit. The page constantly updates as Webb travels, deploys, and cools to operating temperature. The most recently completed deployment step for Webb is displayed along a timeline that also indica

webb.nasa.gov

제임스웹이 지금 어디 있는지 궁금하시다면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보실 수 있어요. 지구 출발할 때부터 라그랑쥬 포인트 2, L2 에 도착할 때까지 위치가 표시됐었는데요. 이제 목적지까지 완전히 도착했네요! ㅎㅎ



Webb’s Journey to L2 Is Nearly Complete –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gov)

Webb’s Journey to L2 Is Nearly Complete – James Webb Space Telescope

On Monday, Jan. 24, engineers plan to instruct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to complete a final correction burn that will place it into its desired orbit, nearly 1 million miles away from the Earth at what is called the second Sun-Earth Lagrange poi

blogs.nasa.gov


제임스웹의 궤도라는 L2가 뭔지 궁금하시다면 위의 링크 들어가시면 자세한 설명 보실 수 있어요~


간단히 보자면 지구와 태양의 중력이 균형을 이룬 지점이 라그랑주 포인트래요. 이 포인트는 다섯 군데가 있는데 그 중 L2 지점이 제임스웹이 있게 된 곳이죠! 여기 있으면 지구나 태양이 늘 같은 위치에서 보이게 된다고 하네요. 그래서 빛에 민감한 망원경 부품들을 차단막 반대방향으로 놓으면 보호할 수 있게 된다고 해요. 또 그러면 지구나 태양에 가려지지 않아서 방해받지 않고 우주를 관측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 중력이 균형을 이룬 지점이라 궤도를 유지하기 위한 연료 사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해요^^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와 L2에 있는 제임스웹 궤도를 나타낸 그림이에요. 이렇게 움직인다니 신기하네요!


Virtual Webb Space Telescope Launch Packet | Science Mission Directorate (nasa.gov)

Virtual Webb Space Telescope Launch Packet | Science Mission Directorate

science.nasa.gov


제임스웹에 대해 궁금하신 내용이 있다면 위의 링크로 들어가셔서 보셔도 좋겠습니다

이렇게 제임스웹에 대한 설명도 있고 관련 사이트 링크가 소개된 페이지도 있네요ㅎㅎ

제임스웹에 대해 정리해보고 싶다고 한 둘째가 이것저것 적어보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적어보다가 문득 제임스웹은 그럼 얼마나 멀리 있을까 만들어보기로 했어요ㅋ 무려 한달이나 걸려 도착했으니 엄청 멀겠지요?


맛있는 공부 레시피 :: 지구 쿠키를 만들었어요~ (tistory.com)

지구 쿠키를 만들었어요~

공부를 시키자니 아이가 안쓰럽고 공부를 안 시키자니 그래도 되나 걱정스럽고.. 그래, 어차피 해야 한다면 공부를 즐길 수 있게 도와주자!   이렇게 해서 아이와 즐겁게 공부할 수 있는 여러 가

yummystudy.tistory.com


예전에 지구 쿠키 만들면서 실제로 달까지는 얼마나 멀까 만들어 본 적이 있어요. 지구와 달 사이 거리는 지구가 30개 들어갈 정도 거리라고 해서 지구 쿠키와 같은 모양 동그라미 30개를 이어봤습니다ㅋ

진짜 멀더라구요^^; L2는 달 보다도 멀리 있던데 이 크기로는 절대 못 만들 것 같아서 지구를 지름 4cm으로 만들어 보기로 했어요~ 그럼 달은 지구의 1/4이니 지름 1cm이고, 지구와 달 사이 거리는 지구 지름, 4cm의 30배이니 120cm이네요!

어.. 이번에는 기력이 딸려서 쿠키 말고 그냥 지구 이미지 프린트 해서 실로 연결하기로 했어요ㅎㅎㅎ 달과 지구 사이 120cm 실을 자릅니다. 지구와 제임스웹 사이 거리는 첫번째 소개한 링크에 들어가시면 나와요. 미국 사이트라 마일로 나와서 km로 환산한 다음 지구 지름 12800km으로 나누니 약 114가 나옵니다. 지구가 114개 들어갈 길이에요. 지구 지름을 4cm로 했으니 그럼 456cm이 됩니다!


.... 어허허허;;; 보이세요? 중간에 달 표시한 화살표에 1cm짜리 달 있어요ㅎㅎㅎ 제임스 웹은 축적 무시하고 그냥 크게 뽑았는데도 멀어서 안보이네요; 음.. 지구 쪽에서 사진 찍었더니 마치 달과 제임스웹 사이 거리가 지구와 달 사이 거리랑 비슷해 보이는데 그렇지 않아요.

저희가 만든 4cm 지구 기준으로는 이런 길이가 됩니다! ㅎㅎ 직접 만들어서 거리를 보니 새삼 어마어마 하게 멀구나 싶기도 하고, 저 멀리까지 중력으로 당기고 있다니 신기하기도 합니다 ㅎㅎ 내친 김에 그럼 태양계를 다 만들려면 운동장 나가야겠다고 아이들과 농담하다가... 진짜로 지구가 4cm면 거리가 어떻게 되나도 계산해봤어요

지구와 태양까지 거리가 1억 5천만 km니까 이걸 지구 지름 12800km로 나누고 4cm 곱하니 46875cm이 나왔습니다. 그니까 470미터..요??! 아니 지구가 4cm인데 태양까지가 470미터가 되네요? 그럼 태양계 크기는 어떤가 하고 찾아보니 태양에서 해왕성까지 거리는 태양과 지구 사이 거리의 40배라고 하네요. 그러니까 여기 40을 곱하면... 18.75km...라구요?!! ㅋㅋㅋㅋ 지구가 4센티면 태양계는 18키로미터;;; 운동장에 못 넣겠는데요? ㅋㅋㅋㅋ 운동장에 넣으려면 100분의 1로 줄여야할텐데 그럼 태양계가 180미터가 되면 지구는 0.4mm가 되겠네요. 진짜 점 하나 크기! ㅎㅎㅎ 새삼 어마어마한 우주 스케일이 놀랍습니다!


달 탐사선 명칭 공모전 (kari.re.kr)

달 탐사선 명칭 공모전

달 탐사선 명칭 공모전, 달 탐사선, 달 궤도선, 달 탐사선 발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우연, KARI, KPLO

www.kari.re.kr


우리 나라에서도 달 탐사선을 보낼 예정이라서 명칭 공모전을 하고 있어요! 멋진 이름을 내서 1등이 된다면 발사 현장을 참관할 수도 있다고 하니 도전해야겠습니다! ㅎㅎㅎ 참여하실 분들은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되겠습니다!

우리 나라 최초 달 탐사선 꼭 성공하길 기원합니다! 대~한 민!국! 짝짝~짝 짝짝! 화이팅입니다~ ㅎㅎ 다음에 또 재미난 이야기 가지고 올게요~^^

반응형
And

작은흐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반응형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어린이 과학달력'을 만들었어요~ 어떤 내용인지 살펴보니 진짜 달력 형식은 아니고 과학과 관련해서 의미 있는 날짜를 표시한 내용이네요. A4용지로 출력해서 앞뒤로 한장에 다 들어가는 내용이에요. 앞면은 1-6월, 뒷면은 7-12월 사이에 있는 과학과 관련된 날짜가 소개되어 있네요. 거실 달력 옆에 뽑아놓고 아이들과 그때 그때 살펴봐도 좋을 것 같아요~ ^^

 

 

자세한 내용 퍼왔어요~ 그냥 아래 링크로 들어가셔서 자료 다운 받아서 프린트 하시면 됩니다. 참 쉽죠~? ㅎㅎ 

 

달력 속 과학이야기 어린이 과학달력 제작 배포 < 공지사항<소통마당-국립중앙과학관 국문 사이트 (science.go.kr)

 

달력 속 과학이야기 어린이 과학달력 제작 배포 < 공지사항<소통마당-국립중앙과학관 국문 사

달력 속 과학이야기 「어린이 과학달력」 제작·배포 ○ 국립중앙과학관은 초등학교 교과과정과 연계된 흥미진진한 과학 이야기(32건)를 담은 달력 속 과학 이야기 ‘어린이 과학달력’을 제작

www.science.go.kr

 

다운 받아본 '어린이 과학달력' 일부 내용이에요. 이런 식으로 깔끔하게 여러 날짜가 A4 한장에 볼 수 있도록 정리되어 있어요. 이번 달인 1월에는 17일, 31일에 관련된 내용이 있네요! 

 

 

더불어 1월 10일까지 이벤트도 진행한다고 해요. 과학 달력도 받고 이벤트 신청해서 선물도 받으면 좋을 것 같아요~ 사실 이벤트 퀴즈는 너무 쉬워서 과학달력을 보지 않아도 누구나 풀 수 있는 문제네요 ㅋㅋㅋ

 

[이벤트] 어린이 과학달력 읽고 '이달의 과학..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이벤트] 어린이 과학달력 읽고 '이달의 과학퀴즈 맞추기'

안녕하세요. 국립중앙과학관입니다! 과학관에서는 초등학교 교과과정과 연계된 흥미진진한 과학 이야기가 ...

blog.naver.com

 

위의 링크 들어가시면 이벤트 참여 방법이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거 말고도 요즘 VR로 관람할 수 있는 전시도 있어서 소개해볼게요~

 

 

::: 국립중앙과학관 특별전시 데이터와 미래전 ::: (science.go.kr)

 

::: 국립중앙과학관 특별전시 데이터와 미래전 :::

 

vr2021.science.go.kr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국립중앙과학관에서 하는 '데이터와 미래전' VR로 보실 수 있어요. 데이터, 슈퍼 컴퓨터 등등에 대해 나와 있는데 일반관람으로 그냥 돌아다니면서 구경할 수도 있고 큐레이터 선생님 설명을 들으면서 관람할 수도 있어요~

 

 

::: 국립과천과학관 특별전시 심연전 ::: (science.go.kr)

 

::: 국립과천과학관 특별전시 심연전 :::

 

vr2021.science.go.kr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국립과천과학관 '심연전' 보실 수 있는데요. 해부학과 눈의 구조, 빛에 대해 알아볼 수 있어요. 

 

국립중앙과학관 이리 저리 돌아다니다 보니 재미난 자료들도 많아서 그것도 올려볼게요 ㅎㅎ

<신기한 오레오 팝콘 만들기>

맛있는 과학실험 레시피네요 ㅎㅎ 오레오 팝콘 만들기가 있어서 요것도 아이들과 해보면 재밌을 것 같아요~ 아래 링크로 들어가시면 동영상 보실 수 있겠습니다~

 

| 국립중앙과학관 자료실 (science.go.kr)

 

| 국립중앙과학관 자료실

디지털자료 통합검색 자막 혜민 :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희는 과학관 TV의 이혜민, 보경 : 박보경입니다. 오늘은 집에서 만드는 과학 요리, 오레오 팝콘을 만들어 볼 건데요. 맛있는 팝콘도 만들

col.science.go.kr

 

오레오 팝콘 말고도 재밌을 것 같은 내용이 많아요. 방학 때 집콕 중에 아이들과 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ㅎㅎ 그럼 다음에 또 재미난 이야기 가지고 올게요~ 

반응형
And

작은흐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반응형

이번 달에도 한국핵융합연구원에서 하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실험에 참여하게 되었어요! 이번 건 실험이 아니라 보드게임으로 놀아보는 거네요ㅎㅎㅎ



재미난 보드게임 해보면서 전기 공급을 위해 발전소 세워보고 오염물질을 줄이는 노력을 함께 해보는 보드게임이에요. 화력발전은 전기 생산을 하는 대신 오염물질이 나오고, 풍력발전소 등은 오염물질은 없는데 전기 생산이 많진 않죠. 궁극의 핵융합 발전소는 서로 협력해서 연구성과를 모아야 세울 수 있게 됩니다! 보드게임인데 협력을 해야 다함께 윈윈 할 수 있어요~ ㅎㅎ

아이들이 신나게 보드게임 세팅 중입니다~ 음...구성하는 부속품도 많고 꽤 복잡해 보여서 처음 할 때는 좀 어려워 보일 수 있어요. 게다가 상자에 인원수가 많이 필요한 것으로 적혀 있어서 당황했었는데요. 막상 해보니 2-3명도 충분히 할 수 있는 보드게임이었어요~^^

설명서 보면서 순서대로 차근차근 해보니 그다지 어렵지 않고 재밌었어요ㅎㅎ 열심히 연구해서 진짜로 핵융합 발전소를 세우는 그 날까지 화이팅입니다~~^^



블랙아웃 보드게임 설명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mF28C1Pp-aE


블랙아웃 보드게임 설명해주는 동영상도 있어서 가지고 왔어요~ 설명서만 보고 바로 해봐도 되고, 어떻게 하는지 좀 어렵다면 이 동영상 보고 해봐도 좋을 것 같아요~

동영상 후반에 보니 블락아웃 보드게임 프린트 해서 해보는 것도 가능하더라구요!


KFE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퓨전스쿨

[학생용]

fusionschool.kfe.re.kr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블랙아웃 보드게임 자료 받으실 수 있겠습니다^^


동영상에서 마지막에 블랙아웃 보드게임에 대한 평이 있길래 퍼왔습니다. 정말 다함께 협력하면서 미래 에너지에 대해 알아볼 수 있어서 좋은 게임이었어요~


문득 이 비슷한 보드게임들이 떠올라서 몇 가지 추가로 추전해봅니다~

팬데믹 보드게임

팬데믹! 이것도 꽤 괜찮은 보드게임이에요. 전세계가 전염병의 위험에 맞서 싸우는 게임이죠! 딱 코로나 상황에 잘 맞는 게임이지요? ㅎㅎㅎ 다함께 협력해서 지구를 지켜내는 게임입니다~~



금융 보드게임
금융교육 교재/교구 목록 | 금융교육센터 (fss.or.kr)

금융교육 교재/교구 목록 | 금융교육센터

www.fss.or.kr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금융 관련 보드게임들 프린트 해서 해보실 수 있어요. 이것도 비슷한 느낌인데요. 보드게임으로 놀아보면서 금융의 흐름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경제관념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보드게임이에요. 날씨도 춥고 코로나도 있으니 여러 보드게임과 함께 즐거운 집콕 생활 해봐야겠습니다^^; 그럼 다음에 또 재미난 이야기 가지고 올게요~


반응형
And

작은흐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