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분류 전체보기 (774)
즐거운 영어 레시피 (61)
재밌는 놀이 레시피 (108)
책벌레 독서 레시피 (94)
신나는 수학 레시피 (25)
궁금한 과학 레시피 (128)
학교가 신난다! 교과연계 레시피 (26)
스스로 자기주도 레시피 (111)
섬기는 성품 레시피 (17)
컴퓨터 코딩 레시피 (15)
우리나라 신화 이야기 (7)
엄마도 한다! 엄마표 중국어 (17)
햄스터 키우기 (37)
함께하는 엄마 공부 (38)
보관 (0)
작은 단상 (81)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LINK



반응형

2022개정 중등 대비하는 글 정리해서 둘째 아이 입학 전에 올리려고 했는데 아이가 벌써 입학했네요? ㅋㅋㅋ;;;; 3년 터울 누나를 키워서 그 때 공부했던 내용을 둘째 때 편하게 우려먹(;)으려고 했었는데요. 첫째 때는 2015 개정 과정이었는데 둘째는 올해부터 2022 개정 과정으로 싹 바뀌었습니다 아하하...ㅜㅜ 

 

기본적으로 2022 개정에서는 자유학기제와 진로연계학기가 있어요. 중학교 1학년 중 한 학기가 자유학기제가 되고 3학년 2학기는 진로연계학기가 됩니다. 과목마다 여러 단원들이 이리 저리 옮겨가는 것도 있는데 그건 그 때 그 때 학교에서 공부하는 대로 따라가면 될 것 같습니다. 일단 첫째 때 기존 2015개정 과정에서 중등 준비할 때 정리했던 내용이 있는데요. 대략적인 틀은 따라가면서 학기별로 과목마다 달라지는 단원에 맞춰서 학기 전 방학 때 준비하면 될 것 같아요

 

출처: unsplash

 

 

우선 예전에 올렸던 중등 공부 계획 정리한 내용이에요 

맛있는 공부 레시피 :: 공부의 줄기 잡기 (Feat. 초등,중등 계획표)

 

<국어>

저희 첫째 중학생 때 2015개정 과정에서는 이렇게 국어를 대비 했었어요. 

'국어교과서 작품읽기' 방학 때 미리 읽어본 첫째의 말로 별로 도움은 되지 않았다고 해서 둘째 때에는 빼기로 했습니다. 어휘 책은 서점에 가서 둘째와 한 번 훑어봤는데 모르는 단어가 제법 있어서 어휘책 한 권 꾸준히 해보기로 했어요. 빠작 문학/비문학 한 권에 있는 책이 있길래 역시 둘째와 서점에서 훑어보고 적당한 난이도 책을 골라서 해보기로 했습니다. 문법은 다 듣지는 않고 중등 국어 문법 중에서 좀 어렵다는 부분만 학기 전 방학 때 인강으로 들었었는데요. 첫째는 학교 선생님께서 굉장히 잘 가르쳐 주셔서 방학 때 미리 들을 필요는 없었던 것 같은데, 학교에서 설명이 부족하다면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을 것 같대요. 일단 학교 수업 들어보고 필요하면 인강으로 보충하기로 했습니다. 

 

아, 나비효과 입문은 조금 듣다가 말았어요. 그 시기 즈음 혼공하던 첫째에게 학원 바람이 불어서 모조리 학원으로 옮겼거든요; 인강으로 혼공하는 경우 인강 강의 수가 굉장히 많은데 학원 온라인 수업의 경우 좀 더 엑기스(;)로 진행되어서 그것도 괜찮았던 것 같습니다. 둘째도 혼공 해보고 학원과 비교해서 원하는 대로 해주려고 하는데요. 학원 간다면 대충 3학년 여름방학 정도부터 준비해서 가고 그 때까지는 집에서 독서하면서 위에서 정리한 대로 혼공하게 될 것 같습니다 ^^ 

 

미래엔

 

미래엔

고객센터: 1800-8890 (발신자부담) 고객센터 운영시간 평일 09:00 ~ 18:00 (점심시간:12:00~13:00) 1:1문의 상담하기 © MIRAE N CO.,LTD. All Rights Reserved

www.mirae-n.com

 

학교마다 교과서가 달라서 각자 맞는 교과서에 따라 대비해야 할 것 같아요. 저희 아이 학교는 국어교과서 미래엔 책입니다 

 

국어 미래엔(신유식) 1-1

1-1 수록 작품 제목(저자) 1-2 수록 도서 제목(저자)
길 (김종상) 동백꽃 (김유정)
사랑하는 별 하나 (이성선)  달콤한 광고의 꼼수 (알랭 드 보통, 인생학교) 
옥수수 뺑소니 (박상기)  
안녕, 나의 물고기 (이다영)  

 

미련을 못 버리고(ㅎㅎㅎ) 국어 교과서 수록 작품 뭐있나 찾아봤어요. '길', '옥수수 뺑소니', '동백꽃' 이렇게 세 가지가 '국어 교과서 작품읽기'에 나오는군요. 기회가 되면 읽어보고 아니면 그냥 학기 중에 교과서 잘 읽는 걸로 하기로 했습니다~ 

 

중등 국어 문법 직전 학기 볼 부분 (2022개정 과정은 아직 1학년만 나옴) 

중등 국어 문법 직전 학기 볼 부분 미래엔(신유식) 해당 단원 나오는 학기 대비하기
국어의 품사 1-1  1-1 수업 듣다가 필요하면 인강 추가하기
올바른 발음과 표기   (2015 과정 2-1, 중1 겨울방학 대비했음)
음운, 문장 짜임과 표현    (2015 과정 3-1, 중2 겨울방학 대비했음) 

 

중등 국어 문법 중 어렵다는 파트는 어느 시기에 나오는가 찾아보려고 했는데... 2, 3학년 과정은 아직 안 나왔군요 ㅎㅎㅎ 일단 이번 학기에 바로 국어의 품사 부분이 나오네요. 학교에서 수업 들어보고 인강이 필요한지 봐야겠어요. 그래서 인강이 필요한 것 같으면 그 때 그 때 다음 학기 교과서 나오면 해당 파트 있는지 보고 방학 때 미리 인강 들어보면 되겠습니다~ 필요 없으면 말구요 ^^; 

 

<영어> 

역시 2015개정 과정이었던 첫째의 계획이었습니다 

 

둘째와 함께 서점에 가서 영어 교재들을 살펴보고 두 페이지 당 모르는 단어 대략 2-3개 되는 책으로 골랐습니다. 독해는 모의고사 독해집을 할까 어드밴스드 리딩 엑스퍼트를 할까 고민하다가 우선은 독해력을 기르는 게 맞는 것 같아서 어드밴스드 리딩 엑스퍼트 시리즈 중에서 펼쳐보고 적당한 난이도 골라서 시작하기로 했어요. 문법은 그래머 인사이드 3까지 완료해서 3800제 3학년과 그래머존 기본 중 뭘 할까 봤는데 둘째가 3800제 보더니 기겁을 하고 그래머존 기본을 고르네요 ㅎㅎㅎ 일단 혼공 해보는데... '혼공을 반드시 해내야만 한다!' 는 건 아니어서 적당히 둘째 상황 봐서 혼공이든 학원이든 맞는 방법 찾아서 해볼 생각입니다 ^^ 

 

음.. 나머지 과목은 수학은 과외로 진행하고 있어서 선생님과 상의해서 최대한 진행하려고 하는 중입니다. 이건 개인차가 너무 심해서 각자 상황과 목표에 따라 달리면 될 것 같습니다. 고1 첫째 보니까 수학을 제일 많이 했는데 아직도 수학이 제일 할 게 많아요;;; 수학은 그냥 냅다 달리면 되겠습니다 ㅠㅠ 아, 물론 제대로 다지면서 달려야 하겠지만요; 

 

과학도 첫째는 중등 과학은 인강으로 했었는데 둘째는 인강 몇 번 들어보고 학원 수업도 신청해서 들어볼 예정입니다. 둘 다 해봐서 아이가 어느 쪽으로 할 지 선택하기로 했어요. 역사도 둘째는 어느 정도 노출은 되어 있는데 첫째가 어차피 그건 걍 닥쳐서 열심히 외우면 된다고 해서 그렇게 해보기로 했습니다 ^^; 

 

 

 

 

<첫째 초등학교 입학할 때의 마음가짐>

둘째 중학교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 고민하면서 첫째 키울 때 정리했던 자료들 이리 저리 들춰보고 있었거든요. 사실 이 블로그 자체가 첫째 때 쌓아놓은 노하우 둘째 때 우려먹기 위한 목적이라서요ㅋㅋㅋ 그러다가 이런 저런 교육자료들 모으기 시작할 때 맨 처음 작성했던 문서를 열어봤습니다 

 

 

아... 그랬죠. 가장 첫 번째 목적, 제일 중요한 방향성. 그건 행복한 아이로 자라도록 키우는 것이었어요. 새삼 다시 한 번 돌아봅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고 했는데 경시대회 상 받고, 영재원 합격하고, 좋은 학원 입테 통과하는 아이(지나치게 구체적ㅋㅋ;)로 키우는 걸 우선하지는 않았는지 스스로의 행동을 돌아봅니다. 마음이야 뭐... 늘 행복하길 바랐겠죠. 아이에게 한 말과 행동에서 나는 어떤 엄마였나 생각해봅니다. 그리고 오랜만에 아이들에게 어릴 때 하던 질문을 던져봤어요

 

엄마: 얘들아, 가장 중요한 게 뭐라고?

첫째 & 둘째: 숨 쉬기요~~~

 

ㅎㅎㅎㅎ 하도 세뇌처럼 어릴 때 하던 말이라 둘 다 잘 기억하고 있네요! 그럼 이 다음에는 "숨 쉬고 있어? 잘했어! 그럼 너희가 해야 할 건 다 한 거야!" 라고 말해주고 있어요. 하도 힘든 교육환경에서 살아가는 아이들이다 보니 가장 중요한 걸 잊기 쉽거든요. 이렇게 힘들게 교육 시키는 것 자체도 목적은 행복하게 살기 위한 것이니 다시 한 번 제 마음 속에도 기본을 되새겨봅니다. 3월이라 새 학기 시작하는 모든 아이들과 부모님들, 화이팅입니다~ ^^ 

 

반응형
And

작은흐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반응형

2028 대학입시 관련된 내용 전반적으로 정리해봤습니다. 2009년생 대학 입학 시험부터 고교학점제에 새로운 수능에 내신도 5등급으로 변화하면서 싹 바뀌는데요. 그래서 대학입시에 관련된 내용을 크게 내신 - 교과, 내신 - 비교과, 수능 관련 내용으로 정리해봤어요. 제가 나중에 까먹지 않고 참고하면서 보려고 정리한 자료라서 대충 크게 정리한 내용은 아래 표에 다 압축해놓고 관련된 참고자료는 그 밑에 주루룩 달아놨습니다. 인터넷에서 자료 찾다 보면 여러 가지 이야기가 많은데 입시가 하도 자주 바뀌다 보니 이게 언제 적용되는 내용이고 언제까지 맞는 이야기인지도 구분하기 어렵더라구요; 그래서 공식적인 자료로 확인 가능한지 찾아보고 정리하느라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개인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건 찾아서 정리해봤는데 나중에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도 있겠습니다. 우선 지금까지 찾아본 내용 올려볼게요~

<2028 대입 관련 내용 총정리 (2009년생)>

 

  교과 비교과 수능
확정 내용 보통교과,전문교과
절대평가(ABCDE)
상대평가(5등급)

사회,과학 융합선택
절대평가(ABCDE)

체육,예술/과학탐구실험
절대평가(ABC)

교양
절대평가(P)

5등급
자율: 임원 여부 기재됨
동아리: 창체동아리 반영
(자율동아리 미반영/청소년단체활동 미기재/소논문 기재금지)
봉사: 교내봉사 반영
(특기사항 미기재/개인봉사 미반영)
진로: 진로희망분야 미반영, 내용은 반영


수상/독서 미반영
국어: 화법과 언어, 독서와 작문, 문학
수학: 대수, 미적1, 확통
영어: 영어I, 영어II 
한국사(필수)
사탐: 통사
과탐: 통과
제2외국어/한문

9등급
비고 전문교과 - 특성화고 과목
보통교과 - 공통/선택(일반/진로/융합)

국영수 전과목, 통사,통과, 한국사, 과학계열 예전 이름 물화생지1,2 과목 모두 상대평가

고교학점제 - 과목 선택 중요

위계 있는 과목은 배울 순서, 미리 배울 과목 알아두기. 가고자 하는 과 관련 과목 찾기

과목 선택하는 시기 - 미정
예시로 "전 해 6월 사전 수요조사, 9-10월 1차 수강신청, 11월 수강 신청 변경 기간" 되어 있는데 입학 후 재확인 필요 
자동봉진 축소되나 기재되는 내용 있음. 자율활동에서 임원 자체보다 관련 활동 보여주는 내용이 중요하다고 들음. 미기재, 미반영이어도 여러 항목에 "녹여서" 쓸 수 있음

서울대 기준 수시 3-1까지, 정시 및 졸업생은 3-2까지 내신 반영한다고 들음. 2028 입시에서 다시 확인 필요 

2026 대입까지 나와 있음
2026년에 재검토 예정
(~26.12.31)
2028 대입 관련 내용 나중에 다시 확인 필요
2025 모의고사 일정

학평: 교육청 출제, 재학생만
(6/3 서울 제외)
모평: 평가원 출제, 수능 출제 기관임. 재학생+졸업생
수능: 11/13

사탐 과탐 예시 문항 있음


 

표가 깨지는 것 같아 그림으로도 다시 올려봐요;;


공식적인 reference를 확인하지 못한 내용은 "~라고 들음"이라고 표시하거나 재확인 필요하다고 적었습니다. 그러니가 내신 - 교과는 기술 가정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과목이 상대평가라고 생각하면 되겠군요 ㅠㅠ 예체능은 제외라 다행입니다. 고교학점제라 과목 선택이 중요할 것 같은데 대충이라도 과목 미리 살펴봐야겠어요. 위계 있는 과목은 순서대로 들어야 한다고 하니 어떤 과목을 듣기 위해 미리 들어야 하는 과목이 있다면 그건 미리 신청해야겠네요. 수강신청 언제 하게 되는지는 정확한 내용은 못 찾았어요. 하지만 예시로 나온 내용을 보니 1학년 1학기 중에 무슨 과목 들을 지 대충은 선택해야 할 수도 있겠네요. 내신 - 비교과는 많이 축소된다고 해서 세특이 가장 중요하다고는 하는데 다른 부분도 아예 사라지는 건 아니니 어느 부분이 들어가고 어느 부분이 안 들어가는지 확인해봐야 하겠습니다. 학생부 관련해서는 2026년에 또다시 개편될 수 있으니 이 부분 2026년에 다시 찾아봐야겠어요. 수능은 잘 준비하면 되겠(..;)습니다; 일단 눈 앞에 떨어진 불똥, 고교 학점제 관련 내용 먼저 공부해야겠네요; 아래는 저 위의 표를 정리하기 위해 참고한 사이트와 내용 올려봅니다. 

 


 

<수능 관련 내용 모음>

교육부 >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교육부 >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험 및 점수 체제 안내 - 2028 수능 국어.수학.영어 문항 수 및 시험시간 현행 유지 - 탐구 과목당 25문항, 40분간 응시(20문항 30분→25문항 40분) - 제2외국어·한문 과목

www.moe.go.kr

 

 

 
 

 
 

  

2028 수능 통합사회, 통합과학 예시 문항

교육부 >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교육부 >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통합사회.통합과학 예시 문항 공개 -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융합적 사고와 사회.과학의 중요한 기본개념을 학습할 수 있는 통합사회.통합과학 출제

www.moe.go.kr

 

 


 

<내신 - 교과 관련 내용 모음> 

교육부 >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교육부 >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2028 입시부터 국어.수학.사회.과학 선택과목 없는 통합형 수능, 내신 5등급 체제 확정 - 지난 10월 10일 발표한 ‘2028 대학입시제도 시안’ 원칙적 유지 - 수능시험 출제에서 ‘심화수학(미적분Ⅱ.

www.moe.go.kr

 
 
 

 

 
 

 
 

 
2022개정 교육과정 자료
교육과정 원문 및 해설서 :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교육과정 원문 및 해설서 :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ncic.re.kr:443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서 교육부 자료 볼 수 있음. 
 
 

<내신 - 교과, 고교학점제 관련 자료>

고교학점제 설명 사이트

교육부 >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교육부 >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고교학점제, 미리 경험하고 상담까지 받아요”교육부, 진로·학업 설계 지원 서비스 1월 23일 개통- 현직교사의 진로·학업 설계, 학습지도(코칭) 관련 온라인 상담(컨설팅) 제공- 학생은 개인별

www.moe.go.kr

 

함께학교는 학생·학부모·교원이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소통 플랫폼입니다.

 

함께학교 : 학생, 학부모, 교원이 함께하는 디지털 소통 플랫폼

함께학교에서 통합 검색을 사용할 수 있어요

www.togetherschool.go.kr

 

고교학점제 과목 선택 관련 자료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 2015 개정 교육과정 선택과목 안내서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 2015 개정 교육과정 선택과목 안내서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 2015 개정 교육과정 선택과목 안내서 페이지 입니다.

www.jinhak.or.kr:443

 

 

교육과정지원포털-연수·홍보

 

경북교육포털서비스 - 내친구교육넷

본인인증로그인 휴대폰 인증 휴대폰 인증으로 본인 확인을 합니다. 본인인증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본인인증 외 다른 용도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아이핀 전자서명인증서 아이핀(i-PIN)이란 인

www.gyo6.net

 

 

 

 

 

<내신 - 학생부 관련 내용>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방안 - 정책뉴스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방안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책을 제공하는 포털사이트로 정책뉴스, 정책포커스, 국민이말하는정책, 정책기고, 문화칼럼, 사실은이렇습니다, 멀티미디어뉴스, 보도자료, 브리핑자

www.korea.kr

 

 
 
 
교육부,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 발표 - 보도자료 | 브리핑룸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교육부,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 발표

[담당과]학생부종합전형조사단제도개선팀 담당자 팀장 최윤정 (☎044-203-7142) , 연구관 김한승 (☎044-203-7145)대학학술정책관 대입정책과 담당자 과장 송근현 - 정책브리핑 | 브리핑룸 | 보도자료

www.korea.kr

 
 

 
 
 
교육부 > 정책 > 초·중·고 교육

 

교육부 > 정책 > 초·중·고 교육

'23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를 붙임과 같이 안내합니다. 붙임 1. 2023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초) 1부. 2. 2023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중) 1부. 3. 2023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고) 1부. 끝.

www.moe.go.kr

p184

 

 
 





 

<기타 참고할 내용>

학교알리미(초·중등 교육정보 공시서비스)

 

학교알리미(초·중등 교육정보 공시서비스)

학교알리미_초·중등 교육정보 공시서비스

www.schoolinfo.go.kr

 
 
 
서울대 2028 심층 역량평가 면접 예시문항 .. : 네이버블로그

 

서울대 2028 심층 역량평가 면접 예시문항 및 해설

참 입시

blog.naver.com


 

반응형
And

작은흐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반응형

 

 

저번에 올렸던 맛있는 공부 레시피 :: [양송이남매] 스스로 공부하게 만드는 비결 - 0 글에서 전체적인 내용 소개하고 맛있는 공부 레시피 :: [양송이남매] 스스로 공부하게 만드는 비결 - 1 글에서 그 첫 번째인 공부 정서에 대해 이야기 했었는데요. 오늘은 그 두 번째 동기 부여에 대해 올려봤습니다. 내면적 동기화를 하는 부분이 스스로 공부하게 만들기의 핵심이라고 봐요. 공부 정서는 그 바탕을 만드는 것이고 다음에 올릴 실행 방법은 그 이후 하게 되는 구체적인 실천 방법입니다. 이번에 소개한 내면적 동기화 방법 중 칭찬과 방해는 내면적 동기화가 이미 잘 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하고 있어요 ㅎㅎㅎ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이 방법들은 모두 부모와 아이의 관계가 안정적으로 만들어진 이후에 해야 한다는 것이에요. 아이에게 "사랑해~" 라고 말할 때 아이가 어색해하지 않고 자기도 사랑한다고 즉각 대답할 수 있다면 공부 정서 만들기부터 시작하셔도 됩니다. 그런데 아이가 왜 그러냐는 반응을 보인다거나 부모도 아이에게 사랑한다고 말하는 게 어색하다면 지금은 사랑을 표현하는 게 더 중요한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사랑하다"는 동사에요. 내 마음 속 깊은 곳에 간직하고 있으면 모르는 게 당연합니다. 상대방에게 행동으로 보여주세요. 아이가 느낄 수 있게 충분히 표현해주세요. 그것이 가장 근본인 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에는 또 다 그려지는 대로 다음 편 "실행 방법"에 대해 올려볼게요~ 

반응형
And

작은흐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